이는 올해 폴리실리콘 전체수요가 17만4100t으로 추정할 경우 약 6.5% 공급과잉에 해당된다.
에너지 전문시장조사기관인 솔라앤에너지(대표 김광주)가 최근 발간한 ‘전세계 폴리실리콘 Database(2008~2013)’에 따르면 작년에는 태양광 수요의 호황으로 실제적인 폴리실리콘의 공급부족 상황을 맞이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대부분의 폴리실콘 업체들의 증설과 신규업체들의 진입으로 공급능력이 대폭 늘어나면서 수급상황이 반전된 것으로 분석됐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의 수요는 올해가 작년 대비해 약 19%늘어난 반면, 공급량은 약 40%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솔라앤에너지의 정호철이사는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순도 폴리실리콘 생산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세계 6개의 탑 클래스 회사들의 경우는 대부분의 물량을 장기계약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수급상황의 변화에 심각한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6개 회사는 국내 OCI를 포함해 Hemlock, Wacker, GCL, MEMC, REC가 해당된다.
작년의 경우는 폴리실리콘 공급부족으로 품질 수준이 낮은 제품도 시장에서 거래됐으나, 공급과잉으로 가격하락 시기로 접어들면서 품질이 우수한 제품 위주로 우선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
솔라앤에너지에 의하면 6개 회사의 공급가능량은 수요 대비 작년은 약 50%, 올해는 약 74%에 해당된다. 또한 현재의 수급상황은 최소한 2013년까지도 비슷한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도 폴리실리콘의 선두업체와 후발업체간에는 사업적인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폴리실리콘 사업 신규 진출을 검토하는 업체들은 시장상황과 기술력 등을 감안해 이전과 달리 투자성향이 보수적으로 돌아설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