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까지 기초과학연구단 25개 지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중 절반가량의 윤곽이 내년에야 드러날 전망이다.

손병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정책기획본부장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와 KISTEP이 공동 주관한 ‘기초과학연구원 거버넌스 토론회’에서 “기초과학연구원 50개 연구단은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설치하되 2012년까지 우선 25개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25개 연구단은 주로 전국 대학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나 대전·광주·대구 지역의 3개 캠퍼스에 주로 들어설 예정이다.

대덕단지 본원은 내년까지 기반이 갖춰지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연구단별 연구·지원 인력은 55명(연구 50명+지원 5명) 선이며, 연간 130억원이 3년 단위로 지원될 계획이다.

임기 5년의 기초과학연구원장은 연임할 수 있고 ‘국내 최고 수준’의 연봉을 받게 된다.

정부(과학벨트기획단)와 과학벨트위원회는 위원과 산·학·연 전문가 8명 안팎으로 원장후보발굴위원회(Search Committee)를 구성, 연말까지 3명의 원장 후보자를 추천할 예정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위원회 아래 △조직·연구단 △캠퍼스 운영 △인재유치 △가속기구축·연구원건설 등 4개 분야별 설립사무국도 하반기 중 연구원 개원을 목표로 곧 활동에 들어간다.

2017년까지 과학벨트에 투입되는 투자액은 △기초연구 지원(3조5000억원) △중이온가속기 상세설계 및 구축(4600억원) △연구기반 조성(8700억원) △과학벨트 기능지구 지원(3000억원) 등 총 5조2000억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