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총리는 중의원에서 야권이 제출한 내각불신임결의안이 부결된 뒤 2일 밤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퇴임 시기와 관련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로드맵으로 제시한 냉온정지 상태가 완료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방사성 물질 방출이 억제되는 시기로 도쿄전력이 예상한 내년 1월까지 집권을 계속하겠다는 의미다.
간 총리가 조기 사임을 부정하는 입장을 보이자 민주당 내에서는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총리를 중심으로 강력한 반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당초 오자와 전 간사장과 보조를 함께해 내각불신임결의안에 찬성 의향을 밝혔다가 반대로 돌아서 간 총리를 구한 하토야마 전 총리는 2일 밤 “(간 총리가 이달중 퇴진하는 것으로 알았으나) 배반당했다. 인간으로서 최저이며 쓰레기같은 짓이다. 그렇다면 민주당 합동 의원총회(중의원ㆍ참의원 의원 총회)를 열어 목을 칠수 밖에 없다”고 흥분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가 이같이 격분한 것은 2일 내각불신임결의안 표결 직전 간 총리와 만났을 때 '재해와 원전 사고 수습이 어느 정도 단계에 이르렀을 때 물러나겠다'고 한 간 총리의 발언을 조기 퇴진 약속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간 총리는 하토야마 전 총리와 ▲민주당을 깨지 않고 ▲자민당에 정권을 내주지 않으며 ▲동일본대지진 부흥기본법안과 2차 추경 예산안 조기 편성을 추진한다는 것에만 합의했을 뿐 사퇴 시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합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하토야마 총리는 간 총리가 부흥기본법안과 2차 추경 예산안을 짠 뒤인 이달 말께 물러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지만 간 총리는 이를 부인한 것이다.
야권도 간 총리의 퇴진을 요구했다. 자민당의 다니가키 사다카즈(谷垣禎一) 총재는 "진퇴 표명을 하고도 자리에 앉아있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이미 죽은 정권에 협력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간 총리는 내각불신임결의안이 부결되면서 한 숨 돌렸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이지만 퇴진을 요구하는 당 안팎의 파상 공세가 다시 거세지고 있어 내년 초까지 버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