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공동체 창설하자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한국·중국·일본 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중·일 FTA를 통한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의 가시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6일 기획재정부와 민간 경제단체 등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해 사전 단계로 한·중·일 FTA를 조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서 임기내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공언하면서 후속작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민간 경제단체도 한·중·일 FTA 조기 추진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우리 무역협회와 중국 국제경제교류중심, 일본 일중산학관교류기구 등 3국 민간기구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한·중·일 경제통상포럼’을 발족하고, 한·중·일 FTA 조기추진을 위해 민간 차원의 분위기 조성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이들은 오는 9월 중국에서 2차회의를 개최하고, 연말쯤 일본에서 3차회의를 열어 3국간 FTA는 물론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 분위기를 확산시킨다는 전략이다. 이번 민간 공조 포럼 출범은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나아가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의 첫걸음을 내딛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오영호 무역협회 부회장은 “포럼은 3국간 FTA를 비롯한 경제 연대 및 통합을 가속화하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면서 “궁극적으로 아시아 경제통합의 새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필요성이 크게 부각됐다. 당시 서구 선진국과 미국의 투기적 금융행태로 아시아 경제는 고꾸라졌고, 급기야 수많은 노동자들이 거리로 내몰렸기 때문이다.

특히 아시아국가들은 풍부한 노동력과 교육열, 역동적인 기업가 정신으로 21세기 세계 경제의 중심축으로 우뚝섰다. 하지만 ‘세계경제의 블록화’라는 대세에 뒤처지면서 외풍에 흔들렸고, 글로벌 경제위기의 최대 피해지역으로 전락한 것도 아시아경제공동체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지난해 G20(주요 20개국) 의장국으로서 건국 이후 처음으로 세계 경제의 조율자로서 활약한 바 있는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이 역설적으로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한 것도 이같은 배경이 깔려있다.

당시 윤 전 장관이 제안한 ‘아시아경제공동체’ 논의의 구심점이 될 ‘아시아비전위원회’ 설립에도 국내외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호혜평등의 정신으로 아시아 지역이 글로벌 블록화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는 논리는 그 어느때보다 각 국의 동의를 얻고 있는 것이다.

재정부 한 관계자는 “아시아비전위원회는 아시아경제공동체 구축의 첫 단초로 작용할 것”이라며 “역사적인 정통성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이같은 논의를 제안한 만큼 베트남· 캄보디아 등 우리를 경제모델로 생각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