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국회 외교ㆍ통일ㆍ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삼화저축은행은 성공한 로비의 사례”라며 “삼화저축은행은 영업정지되고 나서 바로 우리금융지주가 인수ㆍ합병(M&A)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 명예회장과 박지만씨,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이 아주 긴밀한 관계라고 한다”며 “박씨는 신 명예회장이 연행되기 두 시간 전 같이 식사 했다고 한다 ”고 주장했다.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도 이날 트위터 글에서 “누나(박 전 대표)는 대통령을 만났고 동생(박지만씨)은 신 명예회장과 어울리고 올케(박지만씨의 부인 서향희씨)는 삼화저축은행 고문변호사직을 (저축은행)사태가 난 후에 사임하고, 무슨 사유들이 있을지 그것을 알고 싶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는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동생 박지만씨 부부와 신삼길(구속기소)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이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
또 저축은행을 제도화한 전(前) 정권 실세 상당수가 이번 사태에 연루됐다고 보고 역공을 가해 오는 한나라당의 힘을 빼놓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7일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박 전 대표를 겨냥해 '또 다른 한 방'을 터뜨리겠다고 벼르고 있다.
여당도 이에 질세라 야당 수뇌부를 상대로 공세를 펼치고 있다.
신지호 한나라당 의원은 “2006년 11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캄보디아 국빈방문 때 부산저축은행 김양 부회장도 캄보디아를 방문했으며, 김 부회장은 한명숙 전 총리로부터 저축 증대 활동에 이바지했다고 표창장까지 받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신 명예회장이 정진석 정무수석의 도움을 받아 부산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아 삼화저축은행을 인수했다는 박지원 의원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면 박 의원은 결국 정계를 떠나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