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고위관계자는 이날 “아직 중앙수사부 수사팀이 김 전 원장에 대한 소환일정을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여러 의혹에 대해 전반적으로 점검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장 오늘 내일 소환하지는 않겠지만, 아시아신탁과 부산저축은행의 유착 정황이 확인되면 필요한 경우, 김 전 원장을 소환해 조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원장은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구속)을 통해 부산저축은행 구명 로비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또 아시아신탁 임원으로 재직하다 2008년 3월 금감원장에 취임했지만, 이후에도 아시아신탁 지분을 명의신탁 형태로 보관하면서 영향력을 유지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검찰은 이번 저축은행 비리 수사의 초점을 정관계 비리에 맞추고 20여명에 이르는 정치인들에 대해서도 고강도 수사를 전개할 방침이다.
또 다른 대검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20여명이 넘는 의원들이 저축은행과의 유착비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연루의혹 대상이 많은 만큼 적어도 7월말까지는 수사해봐야 기본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검찰 안팎에서는 K, J, H의원 등 한나라당 SD(이상득)계 및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대거 비리 연루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