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농진청에 따르면 이 방법은 발아가 안된 새싹 채소 종자를 60℃ 물에 넣고 15분동안 놓아두는 것으로, 화학적 소독처리와 비교해도 미생물에 대한 저감 효과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와 배추·다채 등 국내산 및 수입산 새싹 채소 종자 5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열수처리시 일반세균이 크게 줄었다.
또한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은 물론 대장균의 경우 완전하게 제거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종자 발아에도 영향이 거의 없어 열수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와 마찬가지로 45∼97%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지금까지는 새싹 채소를 대상으로 한 화학적 소독제를 이용·소독의 경우에는 약품 농도에 따라 효과가 다르고 진한 농도로 소독을 하면 냄새가 나는 등의 잦은 문제를 빚었다.
농진청 유해생물과 류경열 연구관은 "새싹 채소 등과 같은 신선편이 농산물의 안전한 공급을 위해 앞으로 생산과정의 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기술을 개발·현장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이번에 개발한 이 방법을 새싹 채소 생산농가에 즉시 활용토록 한 영농활용기술을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