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가이트너 장관은 이날 애틀랜타주에서 열린 국제통화회의(IMC) 연설을 통해 "파생상품과 관련한 각국의 규제들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글로벌 표준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WSJ는 가이트너의 발언은 규제 당국과 은행, 기업들이 파생상품을 둘러싼 규제의 방향을 놓고 이해관계를 다투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전선을 열어젖힌 것이라고 평가했다. 환율과 이자율 등의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파생상품 거래는 투기적 목적을 포함해 지난 10년간 큰 인기를 누려왔다.
가이트너는 이처럼 투기적 목적 등을 위한 불투명한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글로벌 기준이 규제가 느슨한 다른 나라들로 리스크가 집중되는 것을 막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적인 콘센서스가 없다면 파생상품 거래에 따른 리스크가 규제가 최소화된 국가로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2008년 금융위기를 초래한 주범으로 지목된 파생상품 거래에 대해 도드-프랭크법을 통한 규제 강화에 나섰고, 이에 맞서 일부 대형은행들은 사업을 해외로 옮길 수 있다며 맞서왔다.
따라서 가이트너의 이같은 발언은 금융기관들이 규제가 약한 일부 국가로 이전할 수 있다는 데에 대해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통합된 규제장치를 통해 불투명한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비용 부담을 늘리면 위험한 투자도 그만큼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