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서 고용분야 작업반 참가자들은 향후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이 민간·지역·취약계층 중심으로 운영돼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 일자리 사업을 추진할 때 직업훈련과 연계 자치단체 책임성·주도성을 강화하고 민간 자원과의 결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원칙도 제시했다.
특히 회의 참가자들은 청년·저소득층·여성·고령자와 같은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투자에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 방법으로는 여성들이 보육·가사의 부담없이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조성하고, 비정규직에 대한 고용안전망을 강화해 보다 강화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이외에도 청년층 일자리는 미스매치를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지식서비스 등 유망분야의 1인 창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을 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유사·중복 사업에 대한 통·폐합은 지속적으로 추진해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고용분야 작업반은 오는 29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2011~2015년 일자리 분야 재정투자 방향 및 인건비 지원 일자리사업 효율성 제고방안’을 주제로 그간 이뤄졌던 민간전문가의 논의내용을 정리해 공개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