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5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전월대비 7.5포인트 하락한 66.3을 기록했다.
CBSI는 건설업체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현재 건설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지난 3월 이후 CBSI는 두 달간 5.7포인트 올라 소폭의 회복세를 보였다. 하지만 5월 들어서는 70선마저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홍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5·1대책이 아직은 건설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업체 규모별로는 대형업체 지수가 크게 떨어진 반면 중견과 중소 건설사의 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4월 107.7로 1년 4개월만에 기준선을 회복한 대형업체 지수는 5월 들어 무려 30.8포인트나 하락하며 76.9에 머물렀다.
3~4월에 지수가 급상승한데 따른 부담과 토목공사 물량의 발주감소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견업체지수는 PF대출만기 도래와 일부 업체의 유동성 위기로 4월 18.6포인트 하락한데 따른 반등효과로 5월에는 8.3포인트 상승하며 66.7을 기록했다. 중소업체 지수는 53.6으로 전월비 1.8포인트 올랐다.
체감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6월 CBSI 전망치는 4월 실적치 대비 14.1포인트 상승한 80.4로 조사됐다.
이 연구위원은 “1분기 극심한 부진을 보였던 공공공사 발주가 차츰 회복되고 있고 주택경기도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나아지고 있어 건설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위원은 “6월 금융권의 건설업 신용평가가 예정돼 있고 PF대출 만기도 계속 돌아와 전망치 만큼 CBSI가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