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게이트 후폭풍] 추가로 무너질 ‘0순위’ 저축은행은

(아주경제 송정훈·김유경 기자) 저축은행 정관계 로비 사태의 후폭풍이 제2금융권을 뒤덮으면서 서울 소재 A·B 저축은행 등이 추가로 영업 정지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등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들의 부동산프로젝트 파이낸싱(PF)대출 부실과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한 대출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예보, A저축은행 단독조사 돌입…증액대출 걸렸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A저축은행에 대한 조사에 돌입했다. 부산저축은행처럼 SPC를 이용한 과다 대출이 문제가 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연체가 예상되는 사업장에 대해 이자를 갚으라는 명목으로 대출을 더 해주는 식의 증액대출을 한 정확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 저축은행은 연체율을 낮추고 재정건정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 증액대출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B저축은행도 퇴출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저축은행의 올 1분기(1∼3월) 당기순이익은 208억387만원 적자를 냈고, BIS 비율도 5.1%에 불과했다.
 
 PF대출 연체율이 높은 C·D저축은행도 영업정지 대상으로 유력시되고 있다.
 
 C저축은행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PF연체율이 25.2%로 나타났고 D저축은행은 1분기 1분기 100억원대의 당기순이익 적자, PF연체율은 45.3%로 집계됐다. PF연체율이 높은 E(33.8%)·F(24.1%)저축은행도 퇴출대상으로 꼽힌다.
 
 이밖에 올 1분기 170억원대 영업적자를 낸 G저축은행과 14%대의 PF연체율을 보이고 있는 H저축은행도 긴장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한 상태”라며 “금융감독원이 이제 봐주고 말고 할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업계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예보 관계자는 "영업이 정지된 저축은행 5곳과 서울·지방 소재의 2곳 저축은행에 대한 조사는 벌이고 있지만 그 밖에 조사 중이거나 조사계획을 갖고 있는 저축은행은 없다"고 해명했다.

 ◆공적자금 투입 ‘지연’…저축은행 부실 키워
 
 저축은행의 연쇄 영업정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부가 신속하게 공적자금을 투입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해 공적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정부 안팎에서는 제기돼왔다.
 
 그러나 정부는 공적자금 대신 캠코(자산관리공사)의 저축은행 PF 매입과 부실저축은행 인수·합병(M&A)이라는 응급처방에 급급했고 결국 저축은행 부실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장을 지낸 김영선(한나라당) 의원측은 “2008년부터 저축은행 부실 문제에 대해서 금융당국을 상대로 강도 높게 문제제기를 해왔다”며 “그럴 때마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문제없다’ ‘살펴보고 있다’는 답변만 들어야 했다”고 말했다.
 
 정무위 소속 중진 의원은 “전북 군산과 전남 광양의 저축은행이 또다시 영업정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안다”며 “지난해 초 공적자금을 투입하려해도 최중경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