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제도는 정부가 포상금과 함께 난제 기술 과제를 제시하고, 연구기관과 개인 등이 해당 기술을 개발해 내면 포상금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지원 대상은 기존 과학기술의 한계를 극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탁월한 기술이다.
이 제도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예산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도입되지 못했다.
해외에서는 무인 주행자동차, 휴대용 연료전지, 정수 자전거, 100달러짜리 노트북, 휴대 정수기 등의 기술에 대해 포상금이 지원됐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지경부는 연말까지 수요조사 등을 통해 2개의 난제기술 과제를 선정하고서 공고할 계획이다. 정부는 과제당 각각 30억원 이하, 5억원 이하의 포상금을 걸 방침이다. 공모 기간은 3년이며, 우리나라 국적을 가진 국내 연구자나 법인이 응모할 수 있다.
현행 정부 R&D는 기술개발 과제를 발굴하고 연구기관에 비용을 우선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이 제도는 사후적으로 연구개발 대가를 지급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