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보험회사 및 유관기관 관계자 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프라임저축은행에) 유동성 지원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이 프라임저축은행 외에 다른 저축은행도 검찰에 고발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처음 듣는 얘기”라고 즉답을 피했다.
프라임저축은행은 한도를 초과한 대출로 검찰 조사를 받은 후 지난 8일부터 이틀 동안 88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가는 ‘뱅크런’을 겪었다.
그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산운용 측면에서도 해외시장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규제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산업자본과 밀접한 관련을 맺은 보험산업 소유구조의 특성상 대주주 부당지원 등을 엄격하게 차단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보험업계는 불완전판매에 대해 끝까지 책임진다는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라며 “대형 법인대리점과 방카슈랑스 등 새로운 판매채널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만큼 판매채널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