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장난감…“게임 앱이 최고 인기”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통화·문자 외에 주로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방송·뉴미디어 통계정보시스템인 ‘KISDI STAT’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가장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게임(18.5%)을 꼽았다.

음악·방송·동영상·사진 등 엔터테인먼트 앱은 14.1%, 생활정보 및 날씨 앱이 13.3%, 내비게이션·지리·위치·교통정보 앱이 10.2%로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도 6~9세(100%), 10대(34.8%), 20대(19.9%), 30대(18.1%)에서 게임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앱으로 선정됐다. 10대와 20대, 30대가 두 번째로 많이 이용하는 앱 분야 역시 엔터테인먼트였다.

40대는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앱이 내비게이션(20%)과 생활정보(16.4%)라고 답했고, 50대에서는 생활정보, 내비게이션, 뉴스, 유틸리티 앱이 20%씩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실제로 이용자가 3일간 스마트폰 사용 내용을 기록한 결과를 보면, 통화·문자·이메일·채팅 등 소통(80.28%) 기능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쓰인 기능은 온라인 검색·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온라인상거래(5.91%)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방송, 영화·동영상·음악 등 오락적인 기능의 점유율은 각각 1.65%, 3.65%, 5.35%였다.

이에 대해 KISDI는 “우연히 기록 조사를 한 3일간 사용한 앱이 평소와 달랐을 수도 있지만, 이용자 스스로 판단하는 스마트폰 활용도와 실제 활용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기준 우리나라 휴대전화 보유율은 88.1%이고, 스마트폰 점유율은 7.7%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평균 휴대전화 사용 기간은 1.7년이며, 휴대전화 이용자의 65.9%가 ‘현재 보유한 휴대전화를 사용한 기간은 2년 미만’이라고 답했다.

이 같은 정보는 KISDI가 작년 10~11월 서울·수도권을 포함한 6대 광역시의 3천85가구, 구성원 6천737명(휴대전화 이용자 5천836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처음 시행한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를 통해 도출됐다.

KISDI는 매년 이들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TV, PC 등 다양한 매체의 이용 행태를 조사해 미디어의 변화가 가구와 개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자료를 축적할 계획이다.
이 패널조사는 연령대·소득·학력·지역별 이용자들의 미디어 활용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스마트폰과 TV 등 미디어를 옮겨가며 콘텐츠를 즐기는 활동이 시간에 따라 얼마나 확대되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김민철 KISDI 정보DB센터장은 “수천명의 패널을 정해 미디어 활용 추적 조사를 하는 것은 우리나라 최초”라며 “심층적이고 다양한 연구와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