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산은지주 민영화 전략 수정 불가피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금융당국이 14일 우리금융지주 인수 대상에서 산은금융지주를 제외함에 따라 우리금융의 민영화 추진이 어떤 방향을 그릴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또한 우리금융인수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던 산은금융지주의 행보도 금융권의 새로운 이슈로 떠올랐다.

◇우리금융, 자체 민영화 VS 분할매각 쟁점될듯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10일 민영화와 관련해“할 말은 많다. 그러나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산은지주의 우리금융 인수가 무산된 시점에서 자체 민영화를 적극 추진해온 이 회장이 조만간 이에 대한 다양한 복안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우리금융과 자회사들은 앞서 산은지주 인수에 대항마로 '경쟁입찰에 따른 지분 분산 매각'이나 '대규모 블록세일(대량매매)', '국민주 방식' 등 자체 민영화를 주장해왔다.

우리금융은 이미 지난해 독자민영화 방안을 추진할 때도 10조원의 투자자를 모집한 경험이 있어 산은지주의 입찰 제한을 계기로 이 같은 요건을 중심으로 자체 민영화에 다시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우리금융 관계자는 “민영화 전략과 관련해 아직까지 수정되거나 구체화된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말을 아꼈다.

하지만 우리금융 내부의 민영화 부분을 담당하는 간부들이 잇단 회의를 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조만간 자체적인 민영화방안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간 산은지주의 눈치를 보느라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타 금융지주사들의 움직임도 가시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지주사들이 인수참여 여부에 확답을 내리지 않고 있지만 금융권에서는 300조원 규모의 우리금융 은행부문을 제외하더라도 이들 금융지주사들이 탐낼 부분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비은행권 부문의 강화를 천명한 신한금융은 우리금융의 자회사를 통해 보험부문 강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또한 KB금융은 우리투자증권 인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도 만에 하나 외한은행의 인수가 무산될 경우 투자자들을 만족시킬 대안으로 지방은행을 제외한 우리은행의 인수를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우리금융의 분할 매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지분을 쪼개서 매각할 경우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못받고, 단독법인으로 지방은행등을 분할해 팔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는 점 등 매각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추진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산은지주, 점포확대 통한 독자활로 모색

우리금융 인수를 통해 활로를 찾으려다 실패한 산은금융지주는 독자적 생존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우리금융인수에 정부가 반대한다면 이를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인수전에 산은지주 참여를 불허한다면 달리 우리금융지주를 인수할 방법이 없다는 게 산은지주 내부의 입장이다. 이에 따라 산은지주는 기존의 개인금융 확대를 통한 민영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산은은 우선 올해 말까지 점포 수를 75개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 8개 점포를 개설해 현재 산은은 55개로 점포 수를 늘렸다.

산은지주의 한 관계자는 “사회간접자본(SOC)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해외 사모투자전문회사(PEF)로 영업확대, 인수.합병(M&A) 자문 등 강점 분야는 더욱 발전시키고, 지점 확대 등 개인금융 보강을 통한 수신기반 확대를 통해 시중은행과 무한 경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산은이 독자 생존을 위해 국책은행의 기준을 뛰어넘는 정부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