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사태…영원한 위기 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14 18: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디폴트 기정사실화…유로존 전이 초읽기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유럽 재정위기 진원지인 그리스의 채무상환 불이행(디폴트) 사태가 가시화하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 연쇄충격 가시화
<화살표 표시는 익스포저(위험노출액), 단위 10억 달러/출처: 국제결제은행(BIS)>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3일(현지시간) 그리스의 국가 신용등급을 종전 'B'에서 'CCC'로 3단계 낮추고, 향후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그리스에 새로 부여된 등급은 세계 최저치로 자메이카·에콰도르·파키스탄보다 못한 것이다.

S&P는 이날 낸 성명에서 그리스의 채무조정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채무조정은 디폴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시장에서도 이미 그리스의 디폴트 사태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유로존(유로화를 쓰는 17개국) 재무장관들은 14일 그리스 사태를 논의하기 위해 모일 방침이지만, 추가 구제금융에 합의해도 발 등의 불을 끄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로이터는 이날 그리스 사태가 장기화하며 '영원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태가 장기화하며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이 큰 유럽 전역으로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리스 사태로 네덜란드, 핀란드, 오스트리아 등 재정이 탄탄한 북유럽의 채권국들은 자금조달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그리스 재정위기의 '해결사'로 부상한 독일 역시 새 구제금융을 통해 시간을 벌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지난주 의회에서 새 구제금융 패키지를 통해 시간을 벌어야만 한다"고 밝혔다.

독일은 여전히 민간 부문도 차환에 동참하면서 어느 정도 채무조정에 따른 손실을 부담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2013년 이후 발행되는 그리스의 모든 새 국채에 투자자들이 손실을 분담해야 한다는 단서가 붙는다면 더 이상 이를 사려는 사람이 없어 2014년부터 그리스가 자본시장으로 복귀할 가능성은 더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일부 유럽 당국자들은 그리스에 추가 구제금융을 지원하는 데 따른 효과는 내년 중반까지만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비관주의자들은 새 구제금융 효과가 올 여름을 넘기지 못할 수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유로존 고위 관료는 "추가 지원이 4년 혹은 7년 동안 그리스 위기를 막아줄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유로존 장관들은 그리스가 디폴트 상황에 빠지기 전에 손을 쓰는 것이 덜 위험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스에 대한 유럽 은행들의 익스포저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그리스의 디폴트 사태를 막기 위한 구제금융 지원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민간 투자자와 납세자들이 그리스 사태에 따른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추가 지원을 하더라도 그리스의 강도 높은 채무조정은 민간투자자뿐 아니라 납세자 모두에게 손실을 입힐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예금을 대거 인출하는 뱅크런과 시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토마스 마이어 도이체방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그리스 위기는 유로존에 매우 고통스럽겠지만, 수술만 빨리 이뤄지면 해가 없는 맹장염과 같다"면서도 "맹장염이 주변국으로 확산될 경우 치명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이 재정위기 해결을 미루는 데 대해 "마치 부풀고 있는 맹장염을 가진 환자가 수술을 하지 않고 참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