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가계부채 대출구조 개선 등 선제적 대응할 것"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5일 “가계부채 문제가 아직은 통제 가능한 수준이지만 지금부터 선제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롯데호텔에서 주한유럽연합상공회의소(EUCCK) 주최로 열린 ‘한국 금융시장의 미래’ 토론회 기조연설을 통해 잠재적 부담 요인인 가계부채 문제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의) 대출 구조가 취약해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가계부채 속도를 적정 관리하고 일시상환, 거치식, 변동금리 위주의 대출 구조를 개선하고 금융회사의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서민금융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와 관련해서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문제 해결과 구조조정을 병행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468개 저축은행 PF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를 토대로 PF 채건 중 부실화됐거나 부실 우려가 큰 채권은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매입하는 등 저축은행의 경영 정상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이 애초 취지에 맞게 건전한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구조조정 및 제도개선 방안을 담은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 현재 영업정지된 7개 저축은행의 매각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마무리하고, 부실 우려 저축은행은 대주주 책임 원칙에 따라 철저한 자구노력을 유도하고 이러한 노력을 전제로 5조원의 구조조정기금을 투입해 부실 PF 채권 매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저축은행의 사금고화를 방지하고 과도한 외형확장을 억제해 건전하고 내실있는 경영을 유도하는 한편 회계 투명성 제고와 후순위채 불완전 판매 방지 등 소비자 보호장치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위원장은 △대형 투자은행 육성 △헤지펀드 도입 등 자산운용제도 선진화 △대체거래시스템(ATS) 도입 등 자본시장 인프라 개혁 등을 국내 금융시장 발전을 위한 과제로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