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방통위 신고… KT·LGU+ 강력 반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6-15 15: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국내 이통사들이 ‘보조금’을 이유로 전면전에 나설 태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KT·LG유플러스는 앞다퉈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서를 제출하며 흠집잡기에 나섰다.

최근 이동통신시장은 지난달부터 번호이동 가입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며 시장이 과열되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가 5000만명을 넘어 포화상태에 이른 상황에서 번호이동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이통사 간 ‘가입자 쟁탈전’이 가열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통신 요금 인하를 하면 막대한 손해가 발생한다고 주장한 이통사들이 한편으로는 막대한 보조금을 쏟아부으면 가입자 쟁탈전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문제의 발단은 sk텔레콤이 이동통신 가입자 유치를 놓고 과도한 마케팅을 하고 있다고 방통위에 고발하며 시작됐다.

SK텔레콤은 5월과 6월에 큰 폭으로 번호이동 가입자가 감소했다.

실제로 지난달부터 14일까지 이동통신 번호이동자 수는 SK텔레콤 2만3809명 줄어든 반면, KT 6077명·LG유플러스 1만7732명 늘어났다.

이에 SK텔레콤은 △ KT와 LG유플러스가 최고 70만원 수준의 판매 마진 정책을 운영한 점 △ 수십만원 상당 상품권과 노트북 등 경품 액수 상향을 이유로 들며 이용자 차별행위에 대해 엄중한 조치를 요청하는 금지행위 신고서를 제출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적정 수준을 넘어서는 과도한 보조금 지급은 부당하게 다른 이용자에게 비용을 전가해 피해를 끼치고, 장기적으로 요금인하 및 투자여력을 약화시켜 요금·품질·서비스 등 본원적 수단에 의한 경쟁을 막는 것”이라며 “경쟁사의 이러한 위법 행위가 조속히 중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KT와 LG유플러스는 발끈했다.

KT는 오히려 SK텔레콤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KT 관계자는 ”경쟁사를 고발하는 것은 지나친 과민반응“이라는 입장이다.

LG유플러스는 강력 반발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오히려 SKT가 번호이동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하는 등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반박했다.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의 신고를 두고 SK텔레콤이 최근 스마트폰 단말 수급이 불안정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주도권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타 사업자들의 영업을 위축시키고자 하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의 조치에 대해 맞불을 놨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SK텔레콤의 위법 행위 사실에 대한 물증을 채증해서 방통위에 신고서 제출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