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특보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현재 대학 등록금 부담이 심각하다는 건 청와대도 공감한다. 그러나 정책을 설계할 땐 합리적 균형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대학 등록금의 경우 “부담 완화란 문제와 함께 국가 재정, 대학 구조조정이란 세 가지 축의 균형을 잡도록 해야 한다”는 게 박 특보의 지적.
그는 “대학을 이대로 방만하게 놔둔 상태에서 등록금만 지원하는 게 과연 바람직한지 생각해봐야 한다”면서 “무상교육을 확대하려면 오히려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확대하는 게 형평성 면에서도 더 맞다”고 주장했다.
박 특보는 “현 정부 들어 국가 장학 재정을 계속 확충해왔다. 지난 정부보다 5.3배 액수가 늘었고 수혜자도 5배 늘었다”며 “저소득층 장학금 제도를 계속 확충하는 등 실질적으로 혜택을 줬기 때문에 중산층의 등록금 부담을 어느 수준까지 완화시킬 것인지가 지금 논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등록금 문제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찾기 위해 당·정·청이 머릴 맞대고 있다”면서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 입장을 마련키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부 논의가 잘 마무리되면 정부·여당의 대안이 제시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박 특보는 최근 국토해양부 직원들의 향응수수 논란 등에 대해선 “공직사회에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일들이 자꾸 터져 좀 민망하다”며 “이명박 대통령도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공직기강을 다잡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사안들을 계기로 우리 공직사회의 투명성을 더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을 걱정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에 반대했다’는 전날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의 주장과 관련해선 “중수부 존폐는 행정부 내 조직에 관한 문제기 때문에 정부가 자기 의견을 밝힐 이유가 있다. 국회가 논의한다고 해서 정부 입장을 밝히지 말아야 할 사안이 아니다”며 “정 의원의 주장은 정치적 해석”이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