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박은 연간 약 700톤 정도 생산되고 홍삼박 내에는 사포닌을 구성하는 성분이 상당 부분(Rb1과 Rg1, 0.35mg/g) 남아 있어, 일부 농장에서 가축사료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사료로서의 효능을 입증하는 과학적인 자료가 부족해 사용 확대에 걸림돌이 됐었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선 홍삼박의 사료 가치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해, 산란계 사료에 홍삼박 3%를 섞어 8주간 급여한 결과, 산란율이 6%p 향상됨을 밝혔다.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요인을 찾기 위해 혈액의 항산화 활성과 면역능력을 조사한 결과, 항산화 활성이 10%p 높아지고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성 물질에 대해 1차 면역을 담당하는 항체(IgM)의 농도도 36% 향상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 영양생리팀 홍준기 연구사는 “홍삼박을 이용해 산란계의 건강상태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자원순환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오는 7월부터 사용이 금지되는 사료첨가용 항생제의 대체물질로서도 홍삼박의 활용 가치는 매우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