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침체 이후 분양가가 분양 성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면서 건설사와 조합들이 일반 분양가를 낮추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경기도 고양 관산동1차 도시환경정비사업인 관산동 더퍼스트프라임은 전용 84㎡가 3억1800만~3억2200만원선이다. 고양삼송지구와 은평뉴타운 등에 비해 약 1억원에서 2억5000만원 정도 저렴한 수준이다.
의왕대우사원아파트를 재건축한 의왕내손 e편한세상의 경우 84㎡가 5억5200만~5억9800만원대다. 3.3㎡당 계산하면 1600만원 수준으로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을 감안해 인근 신규 아파트 매매가격 수준으로 잡았다. 앞으로 나올 과천보금자리지구 예상분양가와 큰 차이가 나지 않을 것으로 회사측은 분석하고 있다.
금호건설이 동양아파트를 재건축한 안양호계동 어울림은 전용면적 84㎡대 분양가가 3억6600만~3억7800만원선이다.
지방도 마찬가지다. 대구에서 최근 나온 물량 중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지 않는 대구평리푸르지오는 전용면적 84㎡가 2억2800만~2억4400만원대였다. 반면 분양가상한제 아파트인 대구동구신천동 신천자이는 84㎡가 2억4700만~2억4900만원선이었다.
부산 명륜3구역주택재개발 사업인 부산명륜아이파크는 전용면적 84㎡대가 2억9500만~3억1800만원선이다. 3.3㎡당 800만원대로 주변 아파트 시세가 1000만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됐다.
분양가상한제 제외대상인 왕십리뉴타운2구역도 조합과 시공사간 분양가 책정을 놓고 갈등을 보였으나 3.3㎡당 평균 분양가를 2000만원 안팎으로 맞추는 쪽으로 최근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
건설업체 한 분양담당 관계자는 “예전에는 분양률을 결정하는 우선순위가 ‘입지’였으나 최근에는 ‘분양가’로 바뀌면서 재건축이라해도 시세보다 가격이 높으면 분양이 안된다”며 “분양가상한제 비적용 물량이라도 분양가를 낮게 책정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