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미 연준 QE3 시행 가능성 낮아"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추가 양적완화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망됐다.

김종만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은 20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CEO 국제금융포럼'에서 "하반기 경기 모멘텀 회복과 인플레이션 압력 가속 등에 따라 3차 양적완화정책(QE3)까지 가기에는 연준도 부담이 된다"면서 QE3 추진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위원은 '2011년 하반기 주요 이슈 점검' 보고서에서 ▲미국 경제 회복 모멘텀 약화 ▲경기 회복 국면에서 일시적 침체인 '소프트 패치'의 장기화 가능성 ▲ 재정을 통한 경기부양 한계 등 사실상 지금의 경제 상황으로 봐서는 QE3를 해야 할 상황이지만 실행되지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실업률이 3월 8.8%에서 5월 9.1%로 반등하고 4월 제조업 생산이 0.4%, 신규주문이 1.2% 각각 감소하는 등 미국의 경제지표가 악화되고 있다. 또 주택판매가 3월 509만채에서 4월 505만채로, 건설은 58.5만채에서 52.3만채로 감소하는 등 주택경기 회복세가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저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남유럽 재정위기와 중동·북아프리카(MENA) 정정불안 등 위험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이중침체(더블딥)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그럼에도 ▲하반기 경기 모멘텀 다소 회복 기대 ▲인플레이션 압력 가속 우려 등으로 연준이 당분간 관망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연 1.1%에서 올해 5월 3.6%로 급등했다.

그는 "지난 QE2 시행 결정 당시에도 중국, 유럽 등으로부터 반발이 심했다"며 "연준이 보유중인 자산의 만기 도래분 재투자를 지속하며 사태 추이를 지켜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어 연준의 금리인상, 자산매각 등 출구전략 시행 시기는 당초 예상보다 3~6개월 연기될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