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 - 수익형 부동산>

  • 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공급 과잉 우려<br/>LH 단지내 상가 인기는 계속될 듯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상반기 인기를 누렸던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관심은 하반기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피스텔과 도시형생활주택 등 소형 주택은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임대수익률이 크게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투자가치와 수요자의 관심은 하반기에도 유지될 것”이라며 “하지만 투자금과 금리 상승 등 변수에 따라 실질적인 수익률은 이미 하락세를 띠고 있는 만큼, 무리한 투자를 삼가야 한다”고 말했다.

부동산써브 함영진 실장도 “가격상승에 대한 불확실성과 임대시장 불안 등으로 안정적으로 월세를 받을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하반기에도 계속 될 것”이라며 “다만 수익률과 분양가격, 지역별 공급현황에 따라 차별화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수익형 부동산으로 투자자가 몰릴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수도권 아파트 등 주택의 가격 상승 기대감이 낮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오피스텔이나 상가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부동산1번지 박원갑 소장은 “최근 부동산 투자자들은 시세 차익 대신 임대 소득으로 보상 받고 싶어 하는 심리가 강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오피스텔이나 도시형생활주택 등의 공급이 늘어나면서 공급 과일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가을 이사철까지는 수요가 충분히 받쳐줄 수 있지만 이후 지역·상품별로 수요자를 찾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또 최근 물가 급등과 금리 인상으로 소형주택에 대한 투자 수익률도 예전 만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교통편 좋은 역세권, 대학가 주변의 임대수익률 높은 단지 등 투자시 옥석을 가려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소장은 "임대 수익형 상품은 수요가 꾸준한지, 분양가대비 적정 임대수익률이 확보된 상품인지, 해당 지역에 지나친 공급과잉은 아닌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도 "서울 성북·은평·강북·동대문·서대문구 등 대학가가 많고 매매가격이 강남권에 비해 저렴한 곳"이라며 "이처럼 수요는 많고,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소형 주택을 가려내야 한다"고 말했다.

상가 시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단지 내 상가에 대한 입찰 열기가 뜨거워질 전망이다. 하반기 공급될 LH 상가는 약 78호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2호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특히 하반기 본격적으로 입주가 진행되는 경기도 수원 광교신도시, 김포 한강신도시, 파주 운정신도시의 단지 내 상가를 중심으로 입찰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9월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 판교역 중심 상권도 주목받고 있다. 삼성테크윈과 파스퇴르연구소, SK케미칼, 미래에셋 등 2013년까지 300여개의 기업이 입주할 예정인 판교테크노밸리도 가까워 새로운 오피스 상권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