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성장전략]전문가, 우리금융 분할매각 권장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대안은 크게 우리금융의 지분 분할매각(블록세일)이나 계열사 분리매각이다.

특히 신한, KB, 하나금융 등이 200조 규모의 우리금융 인수에 난색을 표하는 가운데 이 같은 분리, 분할 매각은 유력한 대안으로 떠 오르고 있는 추세다.

물론 금융당국의 시행령 개정 의지가 완전히 사그러든 게 아니어서 매각 지분율을 낮추는 방안이 다시 강구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그 같은 대안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소의 박덕배 연구위원은 특히 이에 대해 “우리금융지주의 매각에 있어 고려할 사항으로 산업자본에서 분리된 순수 금융자본에 매각해 독자 토종금융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박 위원은 우리금융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이 같은 민영화를 바탕으로 한다면 구조조정 효과가 가시화되면서 경쟁력이 제고될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우리금융 민영화에 ‘실기’한 금융당국에 대해 그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과 은행산업의 외국자본과 국내자본의 조화, 은행과 타금융업과의 조화를 고려해 민영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이건호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분할매각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강조한다.

이 교수는 “조속한 민영화를 위해서는 경영권 매각을 포기하고 블록세일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정부지분을 낮추는 것 이외에 방법이 없다”고 단언했다.

대신 이 경우 경영권프리미엄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정책목표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경영권 매각에 집착하는 것은 조속한 민영화의 포기라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홍익대 전성인 교수는 “지분 분할매각이나 자회사 매각이나 결국 국민의 세금으로 지불한 공적자금 회수의 최대화가 목표”라고 밝히고 “경영권프리미엄의 포기 등에 따른 비용과 조속한 민영화에 따른 이익을 잘 환산해서 최대한의 이익을 강구하는 방안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