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미8군이 공개한 삼성물산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캠프 캐럴 미군기지 41구역과 D구역에서 채취한 토양 샘플에서 각각 다이옥신과 살충제 등 오염물질이 검출됐다.
캠프 캐럴 41구역은 1978년까지 살충제와 제초제, 솔벤트 등 화학물질을 저장하던 구역이며, D구역은 1979년 미군측이 이 화학물질과 오염 토양을 옮긴 지역이다. 이후 미군측은 D지역의 물질들을 재포장한 뒤 한반도 이외 지역으로 반출 준비를 했지만 실제 반출이 이루어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삼성물산은 지난 2004년 미8군 의뢰를 받아 캠프 캐럴 미군기지에 대한 오염물질 조사를 실시했다.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토양의 경우 41구역에선 1.7ppt의 다이옥신이, D구역에서는 0.753ppt의 다이옥신이 각각 검출됐고, 지하수의 경우 41구역은 3.36ppq, D구역은 0.97ppq의 다이옥신이 각각 검출됐다.
미국 환경보호청(EPA)기준에선 토양에서 1ppb 정도의 다이옥신이 검출되면 주거지로서 부적합 판정을 받고 지하수는 30ppq 이하면 먹을 수 있다.
이에 따라 41구역와 D구역의 토양과 지하수에서 검출된 다이옥신이 인체에 큰 해를 끼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하지만 삼성물산 조사에서 캠프 캐럴 내에서 휘발성유기화학물질(VOCs), 반휘발성유기화학물질(SVOCs) 등의 오염물질은 기준치 이상이 검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