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2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이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위에 이어 전체회의에서 날치기를 강행하려 해 불가피하게 긴급 피난적 성격으로 시간을 벌려 했던 것”이라며 이같이 공개 사과했다.
그는 “국민이 동의하지 않는 한 KBS 수신료 인상을 결코 할 수 없다는 것이 민주당의 원칙”이라며 “국민에게 준조세적 부담을 주는 수신료 인상을 위해서는 KBS의 정치적 중립성ㆍ독립성 보장 및 지배구조 개선 등을 담은 방송법 개정 등 두 가지 선결 조건이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만 수신료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미디어렙(방송광고ㆍ판매 대행) 문제와 관련, “종합편성채널은 지상파와 그 역할이 완전히 같다”라며 “그런 점에서 동일 서비스ㆍ동일 규제 원칙이 적용돼야 하며, 따라서 종편의 경우 반드시 미디어렙에 의무위탁해 방송광고ㆍ판매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민주당의 변함없는 당론”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나라당은 이 같은 기본 원칙이 관철될 수 있는 미디어렙법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입법 논의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