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73만 4000명에서 2010년 217만 1000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4.6%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2005년 3659명에서 2010년 4440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월별 발생빈도를 분석한 결과 매년 5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8월에 최고점을 보이고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2010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남자는 3888명, 여자는 5001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많았다.
9세 이하는 남자 진료환자가 많은 반면 10대~50대에서는 여자 진료환자가 많았다.
20~30대에서는 여자가 남자의 2배 가까이 많게 나타났다.
이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5년 687억원에서 2010년 1041억 원으로 2005년보다 1.5배 증가했다.
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는 2005년 473억원에서 2010년에는 713억원으로 늘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열 두드러기 등 일부는 무더위와 땀을 많이 흘리는 8월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원인을 밝히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대증치료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만성 두드러기는 아스피린이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용을 금하고 더운물 목욕, 과도한 운동, 양모 담요, 술 등 가려움을 유발 할 수 있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