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의료보험 보험금지급률 관리 강화해야”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국내 보험사들이 민영의료보험 시장 개척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보험금지급률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지난 2009년 10월 실손의료보험 상품이 표준화되는 과정에서 보장범위 제한에 따른 수요 감소를 우려해 표준화 이전 적극적인 판매에 나섰다.

이에 따라 각 보험사는 판매 실적면에서 큰 성과를 거뒀으나 계약인수심사에는 소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실손의료보험 보험금지급률은 2008 회계연도(FY2008) 120.7%, 2009 회계연도(FY2009) 117.6%를 기록했다.

반면 정액의료보험은 FY2008 92.1%, FY2009 92.0%로 집계돼 실손의료보험 지급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실손의료보험의 상해, 질병보장 관련 지급률이 입원 건당 보험금 증가로 높게 나타난 반면, 통원 지급률은 보험사고율 상승으로 높게 나타났다”며 “적절한 관리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정액의료보험은 상해보장의 간병비, 질병보장의 입원일당과 수술, 간병비 지급률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