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김영환 지경위원장은 "경제단체장들이 불참하면 당연히 청문회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이 양극화의 핵심인데, 재벌 총수와 경제계 지도자들이 바뀌지 않는 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단체장들이 불참하더라도 29일 공청회는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며 “공청회가 상생협력을 위해 들어가는 문이라면, 앞으로 길을 내는 역할은 청문회나 국정감사 증인채택, 국정조사 등이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경위는 공청회에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이희범 한국경영자총연합회장·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의 출석을 요구했으나, 해당 경제단체들은 회장 대신 실무임원을 참석시킨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 위원장은 경제단체들이 정치권의 반값등록금, 법인세 감세철회 등을 포퓰리즘으로 비판한 것에 대해 “재계가 쓴소리를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통령이나 정부에 대해서는 한 마디도 못하고 있다”며 “자신의 문제는 반성하지 못한 채 국회만 비판하고 있는 인상”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한진중공업 사태와 관련, 29일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된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이 불참할 경우 청문회를 연기하더라도 조 회장을 참석토록 할 계획이다.
김성순 환노위원장은 “조 회장이 불참하면 청문회를 7월 초로 연기한다는 여야 합의가 이뤄진 상황”이라며 “그래도 나오지 않으면 국회법에 따라 조 회장을 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29일까지 한진중공업 사태가 해결된다면 굳이 청문회를 개최할 필요가 없다”며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