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중고차업계에 따르면, 이달 3년 된 수입 중고차 감가율이 지난해 11월 역시 3년 된 수입 중고차 감가율에 비해 5~10% 포인트 높아졌다.
3년차 중고차는 물량이 가장 많아 중고차 시세의 잣대로 이용되고 있다. 3년차 감가율이 높아졌다는 건 중고차 가격이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BMW의 최고급 세단인 7시리즈 ‘750Li’(1억8000만원)의 2008년식 모델은 6월 현재 감가율이 64.1%였다. 즉 3년 된 이 차량은 현재 신차 가격의 35.9%인 6500만원에 거래된다는 것. 이는 지난해 11월 3년차 중고차 감가율 57.3%에서 약 7%포인트 늘었다.
2억여 만원인 벤츠 S클래스 ‘S500L’ 역시 같은 기간 감가율이 52.6%에서 56.1%로 늘었다. 지난해 말 9800만원에 거래되던 3년차 중고차를 이달에는 9000만원이면 살 수 있다.
폴크스바겐 ‘페이톤 3.0 TDI’ 역시 38.7%에서 53.3%로 15%포인트 가까이 감가율이 증가했다.
BMW ‘X3 3.0d’(45.7%→44.3%)나 아우디 ‘Q7 3.0’(42.9%→34.5%), 폴크스바겐 ‘골프 TDI’(40%중반→30%대 중반) 같은 일부 차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고 수입차는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이들 역시 대부분 신차 가격 하락으로 중고차 가격이 높아 보이는 착시 효과에서 비롯됐다.
이는 최근 수입 신차의 대거 출시로 3년차 중고차 대부분이 구형 모델이 됐기 때문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편 수입 중고차는 통상 국산 중고차에 비해 중고차 가격이 빨리 하락한다. 부품이 3~4배 비싸서 차량이 노후될수록 유지비가 큰 폭으로 늘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 수입차 대부분의 감가율이 40~60% 선이었던 반면 같은 연식의 국산차는 70~80%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