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포스텍(포항공대) 제정호 교수·원병묵 연구교수·이지산 박사과정생이 참여한 연구팀이 초고속 X선 현미경(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 차세대 방사광가속기)을 사용, 액체 속 미세 기포가 마이크로초(100만분의 1초) 단위로 변하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포가 순간적으로 터지면서 발생하는 ‘표면 장력파’(에너지) 크기가, 기포가 들어 있는 액체의 점성보다 클 때만 물기둥과 함께 에어로졸이 만들어진다는 것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토대로 기포와 기포, 또는 물방울과 물방울이 합쳐질 때 나타나는 현상까지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수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작은 액체 방울 또는 고체 입자를 말하며, 미세먼지·아지랑이·연기·구름 등이 모두 에어로졸에 포함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산업계의 기포 제어나 에어로졸에 따른 기후변화 모델 연구 등에 기여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