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책위의장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최근 대기업에서 하는 정치권을 향한 비판은 시장만능주의적 시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기업들의 성장은 자신들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임을 부정하지는 않는다”면서 “한편으로는 관세, 수입제한조치, 고환율, 저금리 등 어떻게 보면 시장원리에 반한다고도 볼 수 있는 각종 특혜와 정부의 보호정책에 상당 부분 의존해온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추가감세철회나 중소기업 동반성장 문제, 비정규직 차별해소 등의 정책들을 모두 시장원리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형적인 ‘사다리 걷어차기’”라며 “한나라당과 이명박 정부의 정책기조는 기업하기 좋은 정책 환경 조성을 통한 성장이지, 대기업만이 잘 되게 하자는 정책기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공정한 시장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책임을 얼마나 지켜왔는지 대기업 자신들부터 돌아볼 필요가 있다”며 “기업의 99%, 노동자들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 동반성장 없이는 소득 3만 달러의 달성, 또 선진국으로의 진입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