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박태규 송환 본격 시동에 저축銀 수사 급물살 타나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검찰이 지난 28일 저축은행 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정치인들을 줄소환하면서 수사가 활기를 띄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로 도피해 있는 거물급 로비스트 박태규(72)씨 송환에 본격적으로 나서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비리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부산저축은행그룹의 구명로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뒤 캐나다로 도피한 거물급 로비스트 박씨의 빠른 국내 송환을 위해 여권취소 후 강제퇴거를 포함한 법적 절차에 28일 돌입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 수사가 속력을 내기 위해 정관계에 연루된 거물급 로비스트 의혹을 받는 박씨의 신병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보고 법무부를 통해 캐나다에 범죄인 인도청구를 요청한 상태다.
 
 검찰은 범죄인 인도청구 절차에만 의존할 경우 실제 송환까지 많은 시간이 걸려 수사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고 판단, 캐나다 이민국과 직접 접촉해 박씨에 대해 `여권취소-강제퇴거-본국송환‘의 절차를 밟는 방안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통상 범죄인 인도청구는 1년 가까이 시간이 걸리지만, 강제퇴거 절차를 밟을 경우 재판 등 사법절차가 생략되기 때문에 현지에서 신병확보만 되면 1~2주 내에도 송환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박씨는 지난해 부산저축은행이 유상증자를 통해 삼성꿈장학재단과 포스텍에서 총 1000억원의 투자금을 끌어들이는 데 개입하는 등 부산저축은행그룹의 구명로비를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검찰은 이날 부산저축은행그룹이 관리해온 신용정보업체인 서울신용평가 본사를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서울 마포구 상수동의 서울신용평가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와 회계장부,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저축은행그룹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서울신용평가를 관리해오다가 영업정지 하루 전날인 지난 2월16일 159억원에 매각, 영업정지 후 자산을 빼돌리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편 광주지검 특수부(김호경 부장검사)는 보해저축은행에 대한 회계감사를 부실하게 한 혐의(주식회사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위반)로 회계사 Y씨에 대해 28일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사적 감시기구인 회계법인 관계자에게 영장이 청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찰에 따르면 Y씨는 2009년과 지난해 회계감사에서 회수 가능성이 적은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대손 충당금을 줄이고 건전한 자산을 과다계상해 보해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높인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Y씨가 대손충당금 관련 감사 분야 책임자로 은행 측의 요구를 반영해 재무제표를 공시한 것으로 보고 사실관계를 캐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