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대형금융사 `연례 종합검사‘ 폐지한다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금융감독원이 대형 금융회사에 대한 연례 종합검사 운영방식을 수정한다. 특히 종합검사를 줄이는 대신 업권별 상시감시 시스템 강화와 사안별 집중검사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 같은 내용의 금융회사 검사 선진화 방안을 잠정 확정, 업권별 조율을 거쳐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금감원은 먼저 5개 대형은행과 7개 대형보험사에 대해 매년 종합검사를 실시하는 검사 관행을 격년제로 전환한다.

5개 대형은행은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이며 7개 대형보험사는 `생명보험 빅3’(삼성, 교보, 대한)‘와 `손해보험 빅4’(삼성, 현대, LIG, 동부)다.

이에 따라 이들 금융회사의 종합검사 주기는 2년으로 늘어난다. 중소형 금융사의 경우 대략 3~5년마다 종합검사를 받는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올해 5개 대형은행 가운데 국민은행(4월 실시)과 우리은행(9월 전후)만 예정대로 종합검사를 하고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 부문검사로 대체한다.

대형보험사 중에서도 현재 진행 중인 삼성생명과 하반기에 예정된 현대해상, 교보생명 이외에 연례적인 종합검사는 하지 않기로 했다.

금감원은 대신 업권별 주요 사안과 금융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는 부분을 지정, 상시 감시 시스템을 강화해 필요할 때 집중검사를 벌이기로 했다.

은행권의 경우 가계부채 대책 발표의 후속으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상시 감시와 집중검사가, 보험권은 불완전 판매, 보험금 지급 등 소비자 보호 분야가 우선 검토되고 있다.

또한 계열사 간 거래와 자산운용 부문도 집중검사 대상으로 거론된다.

이 밖에 검사 결과의 처리기간을 줄이고 검사의 모든 과정을 전산화하는 내용도 검사 선진화 방안에 구체적으로 담길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