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장은 2일 서초동 대검청사에서 세계검찰총장회의 참석차 방한한 추온 챈타 캄보디아 검찰총장과 양자회담을 열고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추진한 캄보디아 개발사업에 대한 수사와 은닉자금 환수를 위한 협조를 요청했다고 대검찰청이 3일 밝혔다.
김 총장은 “캄코시티 및 캄코에어포트 등 캄보디아 개발 사업에 투자된 부산저축은행 대출금이 적정하게 사용됐는지 수사하기 위해 캄보디아 측의 협조를 구한다”고 요청했다.
또 캄보디아에 은닉된 것으로 의심되는 돈의 추적 및 환수를 위한 공조도 협의했으며 캄보디아 측은 이에 대해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밝혔다고 대검은 전했다.
검찰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그룹은 2005년 8월부터 캄보디아 캄코시티 개발사업에 3천534억원, 2007년 8월부터 시엠립 신국제공항 개발사업에 661억원 등 총 4천195억원을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에 불법대출하는 방식으로 투자했으며, 현재 대부분의 사업이 중단돼 자금의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김 총장은 또 전날 케빈 저보스 홍콩 검찰총장과도 양자회담을 갖고 도이치뱅크의 `옵션쇼크‘ 사건과 관련해 홍콩 금융당국의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으며, 이에 홍콩 측은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도이치뱅크는 작년 11월 주가가 하락하면 이익을 얻는 풋옵션 11억원 어치를 사전에 매수한 뒤 현물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치워 주가지수를 급락시키는 수법으로 448억여원의 시세 차익을 챙긴 혐의로 검찰에 고발됐으며, 서울중앙지검이 이 은행의 해외지점 임직원들에 대한 수사를 벌여왔다.
앞서 김 총장은 국제검사협회(IAP) 연례총회 참석차 방한한 브라이언 손더스 캐나다 연방 검찰총장에게 박태규씨의 조기송환을 요청했으며, 검찰은 박씨에 대해 `여권취소-강제퇴거-본국송환’ 절차를 밟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