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공천ㆍ전대룰 조정 두고 막판 진통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04 18:1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민주당 당개혁특위가 4일 전체회의를 열고 총선과 대선 후보 선출 및 전당대회 ‘룰’에 대한 막바지 조율에 나섰다.
 
 하지만 손학규 대표·정동영·정세균 최고위원 등 당내 이해 당사자별로 의견이 엇갈리며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했다.
 
 개혁특위 논의는 총ㆍ대선 후보 선출시 오픈 프라이머리(100% 국민 경선) 전면 도입 및 당 지도부 선출시 전당원투표제 실시 등의 큰 윤곽은 잡혔지만, 배심원제 도입 여부와 여성특례 조항을 둘러싼 논란 등으로 발목이 잡혔다.
 
 배심원제와 관련해 정세균 최고위원측은 오픈프라이머리의 조직ㆍ동원 선거 변질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배심원의 평가를 일정비율 가미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동영 최고위원측 100% 오픈 프라이머리 주장으로 맞서고 있다. 손 대표측도 100%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반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여기에 당 여성위를 중심으로 여성 인사들은 △지역구 후보 30% 할당 △당내 경선시 여성 후보에 대한 20% 가산점 부여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당 안팎에서 역차별 논란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당 여성위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성평등을 주도해왔다고 자부하는 민주당이 무엇으로 여성 유권자의 마음을 움직일 것인가”라며 여성 특례조항 도입을 거듭 촉구했다.
 
 반면 486 정치신인 40여명은 이날 특위 위원장인 천정배 최고위원과의 면담에서 “기득권을 확보한 전ㆍ현직 여성 의원 및 여성 지역위원장에게까지 가산점을 주는 것은 이중 가산점제”라고 반발했다.
 
 이들은 또 배심원제 도입과 함께 신인들과의 형평성 확보 차원에서 총선에 출마하려는 지역위원장에 대해 ‘선거 전 6개월 사퇴시한’을 명문화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경기지역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성명을 내고 “경선 전 지역위원장 사퇴 조항은 당 골간 조직을 흔드는 문제”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처럼 진통이 거듭됨에 따라 특위 차원에서 단수안이 채택되더라도 향후 최고위를 거쳐 당무위 최종 인준에 이르기까지는 적지 않은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천 최고위원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개혁은 기득권을 버리는 데서 출발한다”며 “기득권을 고집한다면 고립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