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쇄 영업정지 가능성에 대비해 해당 저축은행의 예금자들이 급전을 쓸 수 있는 전담창구가 마련된다.
5일 금융감독원과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이 올해 상반기 검사한 10개 저축은행 가운데 서울의 A 저축은행과 지방의 B 저축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A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 증자를 통해 BIS 비율을 다시 지도기준인 5%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지난달 검사를 받은 B 저축은행은 아직 대주주가 이렇다 할 자구책을 내놓지 못했으며, 자체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나 순탄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B 저축은행과 서울에 있는 다른 2개 저축은행에서 유동성 위기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고 보고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이들 3개 저축은행의 예금 인출 동향을 수시로 점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에 있는 C 저축은행의 경우 역시 BIS 비율이 마이너스로 나타나 외국계 투자자와 인수 계약 직전까지 갔지만, 대주주 적격성에 문제가 드러나 무산됐다.
C 저축은행은 최근 국내 한 공제조합이 다시 인수를 추진 중이지만 역시 전망은 불투명한 상태다.
당국과 업계에선 이들 중소형 저축은행보다 대형 계열 저축은행에서 위기가 비롯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상태에서 계열 저축은행 가운데 1~2곳은 BIS 비율이 5% 미만으로 나오거나 부채가 자산보다 많은 것으로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7개 계열 저축은행이 모두 올해 금감원의 검사를 받지 않은 탓에 이날부터 시작된 금감원의 특별점검 과정에서 대규모 부실이 드러나거나 불법 대출이 적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이 가운데 과거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한 지방의 D 저축은행과 서울의 E 저축은행 등에서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계열사를 매각해 자본 확충을 시도하는 F 저축은행의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자산의 처분 방식과 매각 가격을 놓고 이견이 큰 것으로 전해졌으며, G 저축은행 역시 내부적으로 계열사 매각을 검토 중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 본격적으로 추진조차 못 하는 상황이다.
당국은 9월 말까지 부실을 이유로 영업정지되는 저축은행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지만, 업계에선 이보다 앞서 유동성이 부족해져 스스로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저축은행이 나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들어 저축은행 예금은 3조원 가까이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만기가 돌아오는 예·적금을 재유치하는 비율이 현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예금보험공사는 하반기 저축은행이 대량으로 연쇄 영업정지될 가능성에 대비해 예금담보대출 전담창구를 설치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영업정지된 저축은행의 인근 시중은행 등을 전담창구로 지정, 예보가 해당 은행과 협상한 금리와 기간 등 대출조건에 맞춰 저축은행 예금을 담보로 대출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예보 관계자는 “예금자가 개별적으로 예금담보대출을 받던 것을 예보가 알선해주겠다는 것”이라며 “영업정지 저축은행의 가지급금을 조속히 지급하는 전산 시스템도 이달 안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