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뷔통의 올 상반기 매출은 2천4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2% 증가했으며 샤넬은 1천3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4.8%나 늘어났다.
구찌의 올 상반기 매출은 9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5%가 증가했다.
특히 지난 4월 상당수 제품가격을 평균 25%나 인상한 샤넬의 매출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 지난 2월과 6월 두차례 가격인상을 단행한 루이뷔통도 매출 신장세가 두드러졌다.
가격 인상폭이 클수록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져 ‘비쌀수록 잘 팔린다’는 속설을 입증한 것이다.
대부분의 유럽산 명품 브랜드들이 본고장인 유럽이나 과거 오랫동안 세계 최대 명품 소비국이었던 일본에서 성장률 정체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한국 시장에서의 20~50%대의 성장세는 이례적이고 고무적인 수치다.
최근 많은 유럽 명품 브랜드 최고경영자(CEO)들이 앞다퉈 한국을 찾는 것도 이 같은 폭발적 성장세가 배경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 백화점 명품브랜드 담당자는 “시장이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합리적 소비가 정착된 유럽이나 일본에서 성장률 저하로 고심해온 명품 브랜드들이 최근 명품에 대한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 시장에서 미래의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 빅3 브랜드는 다른 명품 브랜드들이 세일에 돌입해도 전혀 세일을 하지 않는 일명 ‘노 세일 브랜드’로 유명해 ‘비쌀수록 잘 팔리는’ 현상이 지속되는 한 국내 소비자들은 명품을 향한 열망을 이루기 위해 계속 비싼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