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성장성'이 관건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1990년대 친환경소재를 개발,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에 뛰어든 E화학. 20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소비자들에게 생소하던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2008년 베이징올림픽 공식 후원업체로 선정되면서 중소기업이었던 이 회사의 주가가 높아졌다.

지난 1월 이 회사는 창립 15년만에 삼성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 파이를 키우기보다는 제살깎이식 진입으로 중소기업의 살길을 막아오던 대기업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상황속에서 '가뭄에 단비' 같은 희소식이었다.

6일 동반성장위원회와 유관기관 등에 따르면 올해 안에 선정될 중소기업적합업종의 기준은 무엇보다 '미래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E기업처럼 벤처정신으로 무장된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대기업의 막강한 자본, 인프라가 결합되면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 자금과 인력에서 밀리는 중소기업들은 아무리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을 지라도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현정부 들어 대기업들의 문어발식 확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내수시장을 겨냥한 MRO(소모성자재구매대행업) 사업 진출도 결국 성장에 내재적인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대기업 계열사 일감몰아주기에 징벌적 과세방침을 정한 것도 결국 성장을 저해하는 쪽으로 행사될 여지가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더욱이 소비자들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서비스·유통시장을 대기업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는 마당에 전통적으로 우리 경제를 견인해 온 일반 제조업까지 이를 방관할 때는 중소기업들의 설땅은 좁아질 수 밖에 없다.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인 김세종 중소기업연구원 박사는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헬스케어 등의 시장에 참여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대·중소 동반성장도 글로벌 시장을 확보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