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원내대표는 6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서울시에 접수된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 청구 서명의 상당수가 가짜라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며 청구 철회 및 오세훈 서울 시장의 사과를 촉구했다.
이인영 최고위원은 “대권 주자로서 자신을 각인시키기 위해 실적 위주로 무리해서 서명을 받았기 때문에 부실ㆍ조작 의혹이 드러나는 것”이라며 “무상급식이 더이상 오세훈 대권 놀음의 희생양이 돼선 안 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민주당은 주민 열람을 통해 지난 5일 하루에만 4천여 건의 서명 조작을 적발, 이의 신청을 내는 등 무상급식 사수를 위해 총력전을 폈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비정규직 문제 대책을 내놓으며 노동계와 서민을 향한 발걸음을 재촉했다.
민주당은 2015년까지 비정규직을 30% 이하로 줄이고 비정규직 임금을 정규직 대비 80% 이상으로 인상하는 한편 최저임금도 전체 근로자 평균 임금의 60% 이상까지 상향 조정키로 했다.
비정규직특위 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일자리와 주거복지까지 포함하는 `3+3’ 정책을 제시하며 “생활 진보, 민생 진보 정책의 가속페달을 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원내대변인은 최저임금위원회 파행 사태에 대해 사용자위원들이 최저임금 동결을 위해 의도적으로 결정을 무산시키려는 것으로 의심하면서 “200만 최저임금 근로자의 고통을 고려해 하루빨리 최저임금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과의 서민정책 경쟁에 밀리지 않겠다는 다짐도 잇따랐다.
김영춘 최고위원은 “최저임금 등 보편적인 복지정책을 둘러싸고 민주당과 한나라당이 정책 경쟁하기를 제안한다”고 했고, 한 486 인사는 “한나라당의 '좌 클릭'이 비록 빈말에 그치더라도 우리는 실제상황으로 받아들이고 전력을 다해 대응해야 한다”고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