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노출이 적었던 대리점이 사실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정유사의 공급물량 통제가 가장 심했으며, 수급차질에 따른 피해도 가장 많이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사 계열이 아닌 무폴 대리점과 주유소는 3개월 동안 아예 할인된 가격의 물량을 공급받지 못해 정상적인 영업이 어려웠다. 심지어 가격할인 폭이 불투명한 것을 두고 정유사와 주유소 간 책임공방이 비화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누가 득을 봤을까? 소비자는 분명 혜택을 봤다. 하지만 일시적일 뿐이다. 유가가 오르면 세수가 느는 정부는 3개월간 유류세 인하 요구에 덜 시달렸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할인 종료된 지금 여론은 자연스럽게 유류세 문제로 기울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번 가격할인이 시장논리상 지속될 수 없기에 고유가의 근본대책이 될 수 없다는 점이다. 업계와 전문가, 시민단체는 시장투명성 제고 등 보다 근본적인 가격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가격할인이 비정상적이었다는 데 업계와 전문가는 이견이 없다. 더욱이 정부의 압박으로 가격할인이 이뤄진 점은 외국기업에 좋지 않은 인식을 주고 있다. 두 번 다시 이 같은 비정상적 가격할인은 없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