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정치권과 청와대에 따르면 사임을 표명한 김준규 총장의 후임 인선작업을 이명박 대통령이 아프리카 순방에서 돌아오면(11일) 곧바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차기 총장 후보군은 차동민 서울고검장과 한상대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압축된 상태다. 당초 박용석 대검찰청 차장도 유력하게 거론됐으나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대검에서 사실상‘항명’사태가 일어났기 때문에 대검 내 승진인사는 어렵다는 평가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사법연수원 13∼14기를 대상으로 차기 총장 후보군을 1차로 선정한 것”이라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들 중에 총장이 인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 총장 인사를 계기로 법무부 장관도 교체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권재진 민정수석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후임 민정수석으로는 노환균 대구고검장이 확실시 되고 있다.
여권 한 관계자는 “권 수석이나 노 고검장에 대해 야당에선 이 대통령 최측근이라거나 정치검찰이라고 비판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그러나 집권 후반기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선 코드가 맞는 인물을 고를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청와대는 최근 들어 잇따라 터진 권력형 비리 사건 등에 대한 재발방지를 위해서라도 ‘사정라인’을 재구축해 대대적인 수술작업을 나서겠다는 각오다.
이와 함께 일부 장관에 대해서도 ‘소폭’개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내년 총선에 출마할 이재오 특임장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우선 교체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특임장관실 관계자는 “이 장관은 이미 4월 재보선 패배 이후 사의를 표명한 상태”라며 “장관 공식 업무보다는 예정된 강연 등을 소화하고 있어 사실상 신변정리를 하고 있다고 봐야한다”고 말했다.
또‘장수 장관’인 현인택 통일부 장관, 백희영 여성부 장관도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정치권에선 이런 저런 말이 나올 수 있다. 선택은 대통령이 하는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