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의 캄보디아 ‘캄코시티’ 사업에 투자됐다가 용처가 불분명해진 3000억~4000억원 가량의 자금이 북한에 대가성으로 제공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한나라당 의원은 10일 “부산저축은행이 2007년 여름 캄코뱅크를 만들어 자금을 집행했는데 정상회담에 합의한 시점과 겹친다”며 “이후 캄보디아에서 증발한 자금이 정상회담에 연루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필요할 경우 캄보디아 현지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했다.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그룹이 2005년 8월부터 캄코시티 사업에 3534억원, 2007년 8월부터 시엠립 신국제공항 개발사업에 661억원 등 총 4195억원을 현지 특수목적법인(SPC)에 불법대출하는 방식으로 투자했다고 발표했다.
이후 대부분의 사업이 중단돼 자금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그러나 부산저축은행의 캄보디아 투자와 정상회담 합의 시점이 비슷하다는 점 이외에는 자금이 정상회담 대가로 투입됐다는 의혹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제시되지 않고 있어 여야 간의 치열한 정치공방이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