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끝장 보라" 당부에 저축銀 수사 탄력 붙나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김준규 검찰총장이 철저한 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촉구하며 사퇴함에 따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의 부산저축은행 수사가 고강도로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 전 총장은 지난 4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전국에서 진행 중인 저축은행 관련 비리 수사를 철저히 해 주기를 바란다. 특히 저축은행 비리 수사에 대해 국민은 모든 것이 밝혀지기를 원한다. 끝까지 수사하고 ‘끝장’을 봐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10일 검찰 관계자들에 따르면 김 전 총장의 뜻과 검찰의 신뢰회복을 위해 저축은행 사태와 관련, 정관계 의혹 등 강도 높은 수사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 전 총장은 사퇴 직전 서울서 열린 세계검찰총장회에서 부산저축은행 측 거물급 로비스트 박태규(72)씨 조기송환과 함께 캄보디아 캄코시티 개발사업 관련 은닉자금 환수를 위한 캐나다와 캄보디아 검찰측의 협력을 요청했다.

 검찰은 또 지난 6일 부산저축은행이 추진한 효성지구개발 관련 전문브로커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도 하는 등 저축은행 관련 수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저축은행 비리는 끝장 볼 것”이라며 “차기 검찰총장과 국정조사에 상관없이 수사는 지속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수사에 차질이 빚어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검찰청 사무기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중수부는 '검찰총장이 명하는 범죄사건의 수사'를 담당하는 것으로 돼 있어, 총장의 부재로 당장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전 총장이 "중수부를 비롯해 전국에서 진행 중인 저축은행 비리 수사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한 것도 이를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이석환 부장검사)는 이날 금융감독원의 검사 편의를 봐주고 삼화저축은행 측으로부터 뒷돈과 향응을 받은 혐의(뇌물수수)로 김장호(53) 금감원 부원장보를 불구속 기소했다.
 
 또 삼화저축은행 검사에서 한도 초과 등을 묵인해주고 허위보고서를 작성한 금감원 국장 이모(1급)씨와 3급 홍모, 윤모씨에 대해서도 각각 직무유기와 허위공문서 작성·행사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부원장보는 지난 2006년 9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삼화저축은행 신삼길(구속기소) 명예회장으로부터 금감원 검사 때 편의를 제공해주는 등의 명목으로 수차례에 걸쳐 골프 접대와 백화점 상품권, 현금 등 2200만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다.
 
 이 국장 등 3명은 2007년 1월 삼화저축은행에 대한 금감원 검사에서 신용공여한도 초과 등을 묵인해주면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7.49%에 이른다는 내용의 검사보고서를 허위로 작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