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형 금융회사와 중소형 금융회사 간의 검사 내용 및 중점 항목을 차별화하려고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보험이나 증권, 저축은행 등 대주주가 있는 제2금융권의 경우 대주주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며 “저축은행 사례에서 나타나듯 대주주 리스크가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결정적으로 무너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권 원장은 “금융회사의 검사 부담을 줄여주는 차원에서 사전 검사를 강화할 것”이라며 “상시감독 및 수시검사 체제로 전환해 의례적인 종합검사를 지양하고 부분·테마검사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은 검사가 끝나면 내부 검토를 거쳐 제재심의위원회에 넘기지만 앞으로 제재 조치를 그대로 진행하는 한편 별도로 해당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결과를 이사회에서 브리핑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사외이사와 감사의 책임감도 강조했다.
권 원장은 “누가 감사를 하든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감사와 사외이사, 준법감시인 등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진행 중인 저축은행 경영진단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그동안 저축은행들이 준비하고 대비했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경영진단처럼 예금보험공사 및 회계법인과 검사 과정에서 협업을 강화하겠다”며 “협업을 통해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고 감시효과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의 내부 윤리 강화 계획도 내놨다.
권 원장은 “윤리헌장을 신설하고 감찰실을 확대하는 등 내부 윤리·준법 경영을 강화할 것”이라며 “윤리헌장을 위반하면 인사윤리위원회에 회부해 인사상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팀장급인 감찰실의 위상을 국장급으로 격상하고 감찰실장은 외부 공모로 뽑겠다”며 “금융부조리 신고센터도 설치해 금감원 내부 청탁은 물론 금융회사에 대한 부조리 신고도 접수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