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대표는 12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그동안 추진해 왔던 김정권 의원의 사무총장 임명을 단행했다.
이날 김 의원의 사무총장 의결에는 홍 대표를 비롯, 황우여 원내대표, 나경원 남경필 최고위원, 이주영 정책위의장 등 5명이 참석해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이날 의결을 통해 사무총장에 김 의원을 포함해 대변인에 김기현 의원, 대표비서실장에 이범래 의원이 임명됐고, 제1·2사무부총장과 여의도연구소장 등은 임명이 보류됐다.
그러나 김 의원의 사무총장 임명에 대한 홍 대표의 표결 강행에 강한 반대 의사를 표한 유승민 원희룡 최고위원은 결국 회의장을 박차고 나와 표결에 불참했다.
전날 표결로 처리하려 했으나 유·원 최고위원의 반발로 무산됐던 만큼 홍 대표는 이날 △국민경선제 도입 △현역의원 평가를 위한 공정한 기준 마련 △예측 가능한 공천 일정 마련 △관련 당헌 당규 개정 등을 김 의원의 사무총장 임명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결국 두 사람의 설득에는 실패했다.
원 최고위원은 홍 대표의 표결 제안에 “당직인선은 표결이 아닌 합의로 해야 한다는 원칙에 어긋난다”며 반대했으나 홍 최고위원이 “당신들만 원칙이 있느냐”며 목소리를 높이며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최고위원은 회의 퇴장 직후 당사 기자실로 내려와 “굳이 마음이 편한 분을 기용하려면 사무 1부총장에 임명하고 대신 사무총장은 계파색 옅은 3선 의원을 임명하는 것이 공정 공천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했지만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표결로 임명된 사무총장과 부총장을 정치적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해 앞으로도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원 최고위원 역시 “홍 대표는 집단지도체제의 정신에 반하는 일을 했다”며 “전례가 없는 행동은 전례가 없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의 이 같은 인사 강행은 ‘비주류’를 자처하며 중립 계파를 지켜왔던 만큼 특정 계파에 휩쓸리지 않고 향후 정국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강한 의도의 일환으로 풀이되나 유·원 최고위원의 강력한 반발로 당분간 당내 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유 최고위원이 최고위원 중 유일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이고, 원 최고위원이 친이(친이명박)계의 지지를 기반으로 출마했던 만큼 이번 논란이 또 다시 당내 계파 갈등을 불러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