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아파트 (임대차)시세 상승이 반영됐기 때문이지만, 전세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공공임대주택 가격까지 크게 올라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시프트 도입 이후 현재까지 미계약이나 계약해지, 퇴거 등으로 인한 공가세대가 재공급된 물량의 전세보증금을 분석한 결과 최고 58% 상승했다고 13일 밝혔다.
재공급에서 전세보증금이 가장 많이 오른 시프트 물량은 강서구 염창동‘보람더하임’ 전용면적 84㎡다. 2008년 1월 공급 당시 1억2666만원이었던 공급가격이 3년 5개월이 지난 6월에는 1억9950만원으로 58% 상승했다.
40% 이상 오른 단지도 3곳이나 나왔다. 서초구 반포동에서 공급된 ‘래미안퍼스티지’ (45%)와 강서구 방화동 ‘마곡푸르지오’ (43%),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40%)는 불과 1년 7개월 ~ 2년 3개월 만에 시프트 공급가격이 급등했다.
공가세대의 공급 가격 상승 이유는 별도의 제한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기존 거주세대의 시프트 재계약시 인상률이 연 5%로 제한되는 것과 달리 재공급에서는 주변시세의 80% 범위 내에서 재산정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1년 미만 단기간에 공급가격이 인상된 단지도 있다. 중랑구 신내동‘신내데시앙’과 구로구 온수동 ‘온수힐스테이트’의 경우 4~9개월만에 보증금이 5% 올랐고, 강남구 역삼동 ‘래미안그레이튼’은 불과 5개월 만에 재공급 가격이 무려 22% 상승했다.
시프트 재공급 물량의 가격 급등은 해당 단지의 공가세대 청약을 준비 중인 수요자들에게 큰 부담이다. 주변 시세가 많이 올랐다고 하더라도 불과 1~2년 사이 20~30% 이상의 공공임대주택 전셋값 인상은 서민들로서는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가격이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시프트는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한데, 가격마저 인근 시세를 따라 계속 오른다면 임대차 시장 안정을 추구하려는 정책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