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장은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가 파기된데 따른 책임을 지겠다며 이명박 대통령의 사의 반려에도 지난 4일 사직서를 제출해 이날 수리됐다.
그는 “항상 국민의 뜻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순간의 지지에 들뜨지도 말고 순간의 비난에 흔들리지도 말아야 한다”고 퇴임사를 읽었 내려갔다.
김 총장은 “검찰은 국민의 지지와 사랑 속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 국민의 기대는 매우 크고, 기대가 큰 만큼 검찰에 대한 평가는 냉정하고 가혹하지만 이 또한 검찰이 지고 가야할 운명”이라며 “아직도 세상은 어두운 곳이 많다. 검찰은 우리 사회의 등대로서 계속 빛을 비춰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수사권 조정 합의 파기에 대해“약속도 합의도 지켜지지 않고 책임도 지지 않지만 원칙이 무너지면 안된다”고 입장을 거듭 강조하기도 했다.
김 총장은 내달 19일까지인 임기를 불과 37일 남겨두고 퇴임해 총장 임기제 도입 이후 취임한 16명 중 중도 사퇴한 10번째 총장으로 남게됐다.
퇴임식에는 김 총장 가족과 법무부 실·국장, 전국 고검장, 재경 지검장, 대검과 서울중앙지검 간부 등 약 400명이 참석 했으며 검찰 총장 후임으로 거론되는 차동민 서울고검장과 한상대 서울중앙지검장도 함께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