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54.49포인트(0.44%) 하락한 1만2437.12, 나스닥지수는 34.25포인트(1.22%) 내린 2762.67을 기록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308.87로 8.85포인트(0.67%) 떨어졌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 의장이 "추가 경기부양책을 취할 즉각적인 준비가 되지 않았다"면서 전일의 발언을 번복한 듯한 발언을 하면서 악재로 작용했다.
이날 증시는 JP모건체이스의 실적 호조와 고용지표 개선으로 상승 출발했다.
JP모건체이스는 지난 2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54억3000만달러(주당 1.27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하면서 1.8% 뛰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주당 1.21달러 순익을 웃도는 것이다.
미국 노동부가 집계한 지난주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 대비 2만2000명 감소한 40만5000명으로 시장 전망인 41만5000명을 밑돌고 2주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장중 버냉키 의장의 발언에 증시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고 경제 단기 전망도 불확실해 상황이 훨씬 복잡하다”면서 “현 시점에 추가 경기부양책은 준비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버냉키 의장은 하원 재무위원회에서 "중앙은행이 추가적인 부양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었다. 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3차 양적완화(QE3)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평가했었다.
하지만 이 발언이 당장 경기부양책을 실시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확산되자 이를 진화하는 발언을 내놨다.
이탈리아가 국채를 성공리에 발행하고 재정긴축안이 의회에서 통과하면서 유럽 재정위기 우려가 약해지면서 증시 낙폭을 제한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5년 만기 국채 12억5000만 유로어치와 15년 만기 국채 17억2000만 유로어치 발행에 성공했다.
입찰에 이어 이탈리아 상원에서는 찬성 161, 반대 135로 400억유로 규모 정부 재정감축안을 승인했다.
재정감축안은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4.6%인 재정적자를 오는 2014년까지 0.2% 수준으로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구글은 이날 전문가 예상치를 뛰어넘는 분기 실적 발표를 내 놓은 후 시간외 거래에서 11% 상승했다.
유럽증시는 14일 거래를 하락세로 마감했다. 이탈리아 상원이 재정긴축안을 승인했다는 소식에도 위기 우려는 가라앉지 않았다.
범유럽지수인 스톡스유럽600은 전일대비 2.26포인트(0.84%) 하락한 267.68에서 장을 마쳤다.
영국FTSE100지수는 59.48포인트(1.01%) 내린 5846.95를, 프랑스CAC40지수는 42.04포인트(1.11%) 떨어진 3751.23을, 독일DAX30지수는 53.13포인트(0.73%) 밀린 7214.74를 각각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56달러(2.5%) 하락한 배럴당 95.69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일보다3.80달러(0.2%) 오른 온스당 1589.30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또 경신했다.
이날 오후 5시45분 현재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0279%오른 1.4147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