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 파일 2만4000건 해킹 당해

(아주경제 이지은 기자) 미군 관련 시스템을 개발중이던 미 군수업체 컴퓨터에 보관중이던 민감한 국방관련 파일 2만4000건이 지난 3월 외국정보기관의 해킹 공격을 받아 도난당했다고 미 국방부가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윌리엄 린 국방부 부장관은 이날 미군의 종합적인 사이버안보 전략을 발표하면서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2만4000건의 국방파일 해킹 사건은 미 국방부를 상대로 일어난 단일 해킹으로는 사상 최악의 공격 중 하나다.

린 부장관은 "이 공격은 외국의 정보기관에 의해 이뤄졌다고 우리는 생각하고 있다"면서 "즉, 국가가 그 (해킹 공격) 뒤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구체적으로 이번 해킹 사건에 어느 국가가 연루됐는지, 또 피해 업체는 어디인지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 언론은 과거에 비슷한 공격시 중국이 가장 많은 비난을 받아왔다면서 중국에 의혹의 시선을 던지고 있다.

이와 관련, 린 부장관은 미 국방대학(NDU) 강연에서 국방산업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지난 몇 년간 "매우 중요한" 파일들을 도난당했으며, 이 중에는 미사일추적시스템과 위성항법기기, 무인정찰기 개발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의 디지털 창고를 지키기 위해 더 많은 일들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 국방부는 이날 처음으로 발표한 사이버방어 전략을 통해 사이버공간도 육지, 해상, 공중, 우주와 같은 작전의 장(operational domain)으로 간주, 발생가능한 상황에 완전히 대처할 수 있도록 장비와 조직을 갖추고 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국방관련 네트워크 보호를 위한 새로운 방어작전 개념 도입, 미국 정부기관 및 민간분야와의 파트너체제 구축, 집단적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공조 강화, 사이버관련 인력 및 기술 개발 등 총 5개의 전략적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미 국방부는 사이버 공격을 받을 경우 단순한 방어에 그치지 않고 공격적인 작전도 펼 수 있음을 시사했다.

린 부장관은 "미국은 전쟁법에 따라 심각한 사이버공격에 대해 우리가 선택하는 시기와 장소에서 공격에 비례한 정당한 군사적 대응을 할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제임스 카트라이트 미 합참부의장도 기자들에게 미국 컴퓨터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줄이기 위한 공격적 접근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해킹) 공격을 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처벌도 없다"면서 "우리는 이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당신이 이런일을 했다면, 그것에 따른 대가가 올라갈 것이다'는 점을 해커들에게 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미 국방부는 미군이 사이버공격을 받을 경우에 대비한 자세한 대응 방안은 공개하지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